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서구 기독교가 파악하지 못한 하느님 - 다석 류영모(2)

기사승인 2019.03.16  18:18:22

공유
default_news_ad1

- 조선교회의 뿌리를 찾아서(8)

없다고 하는 말은 우리가 믿고 있는 바를 부정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가 믿는 그런 하느님은 없다는 말이다. 그러면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란 어떤 분인가?

없이 계신 하느님

절대자로서 우주의 공간 어느 한 부분을 차지하고 계시는 그런 분을 말한다. 성서에서 하느님이란 말은 엘로힘이라는 히브리말을 번역한 말이다. 엘로힘은 엘의 복수형인데, 당시 고대 중동에서의 여러 부족들의 신들은 모두 ‘엘’이라고 불렸다.

창세기 14장에서 멜기세덱이 아브람을 축복하며 부른 신은 모든 신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신 하느님 ‘엘 엘룐의 하느님’이고, 창세기 17장에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신 신은 전능하신 하느님 곧 ‘엘 샤다이의 하느님’이다. 엘로힘은 그러니까 이런저런 신들을 모두 합친 이름이다. 그러면 성서에 나타난 또 다른 신의 이름 ‘야훼’는 무엇인가?

▲ 다석 유영모(사진 왼쪽) 선생님과 그의 제자 함석헌(사진 오른쪽) 선생님 ⓒ한국 위키피디아

이는 애굽에서 노예로 살아가던 히브리인들이 고통을 호소하자 이에 응답하여 모세를 통해 나타나신 분이다. 모세가 묻는다. 당신의 이름이 무엇입니까?

그는 어떤 대답을 기다렸는가 하면, 엘이 들어간 어떤 이름을 기대했던 것 같다. 그런데 이번에 나타난 신은 자신을 많은 엘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야훼’라고 발음하는데, 그 뜻은 그냥 ‘나는 나다.’ 사실 우리는 이 야훼를 신의 이름으로 이해하지만, 본래는 이름이 아니라 그 신의 정체성을 설명한 하나의 문장이다.

본래는 이름이 아니라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유이다 그런 뜻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이름을 부정한 것이다. 이름이 있다는 말은 규정을 받는다는 말이고 규정을 받는다면 그건 더 이상 진정한 신이 아닌 것이다.

엘은 이름이 있다. 전능하신 엘, 뛰어나신 엘, 치료하시는 엘, 규정이 된다. 그런데 ‘야훼’는 실상 이름이 아니라, 이름을 부정하는 단어이다.

다석의 글에서 이런 설명은 보지 못했지만,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신 것은 바로 이런 이해를 하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상대적 존재이고 신은 절대적 존재이다. 어떻게 상대적 존재가 절대적 존재를 파악(把握)-잡을 파에 집 악-하여 이름을 붙일 수 있겠는가? 어떻게 개미가 인간을 파악할 수가 있겠는가? 하늘을 나는 손오공이 기껏 날아보았더니 부처님 손바닥이라는 역파악이 신 이해의 바름이 아니겠는가?

서구가 잘못 걸어온 길

오늘날 신이 서 있는 자리는 어디일까요? 언제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분을 부릅니까?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신을 부르지 않습니까?

자기 욕망을 위해 자기 편리에 따라 신이 나왔다 들어갔다 한다면 그건 신이 아닌 자신의 종일 것이다. 성서는 이를 우상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신앙을 잘 살펴보시기 바란다.

정말 우리가 종이 되고 하느님이 주인이 되는 그런 관계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사실 솔직히 말하면 무한 경쟁과 무한 소유를 부추기는 이 자본주의 욕망이 지배하는 세계 안에서는 신이 존재할 자리가 없다. 신을 믿고 따른다고 하지만, 실상은 모두 거짓이다. 

존재에 대한 서양 사상은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명제로부터 시작한다. 여기에서 인간중심의 서양철학과 이성적 논리에 근간한 신학 그리고 그 바탕위에서 과학이 발전해 왔다. 그러나 반면 동양에서의 존재 파악은 인간 이성에 있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람을 표현할 때, 인간(人間)이라고 한다. 인(人)이라는 하나의 낱말이 이미 인간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이 간을 붙여서 인간을 표현한다. 인간과 인간 사이 거기에 인간의 존재가 있다는 의미이다. 그것은 인간을 개체로 보지 않고 관계성으로 파악한 것이다.

시간(時間) 마찬가지다. 시와 시 사이의 관계 그것이 시간이다. 공간(空間) 또한 마찬가지다. 그런데 공은 비어있다는 말이다. 빔과 빔 사이 그것이 우리가 몸담고 있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서양은 인간이든 시간이든 공간이든 존재를 이해할 때, 눈에 보이는 것, 손에 잡히는 것, 인간을 주체적으로 놓고 그 존재성을 파악했고 이를 있음이라고 한 반면에 동양은 인간이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전체의 아주 작은 부분밖에 없다. 그저 사이만을 이해할 따름이다라고 하여 빔 곧 무(無)를 더 큰 존재성으로 이해했다. 서양에서의 무는 그냥 없는 것인 반면에 동양에서의 무는 마치 도(道)와 같이 그저 이해되지 않을 따름이지 부정의 의미로서의 비존재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존재를 존재되게 하는 그 근본을 무 곧 없음이라고 파악했다.

서구 기독교가 파악하지 못한 하느님

현상을 다루는 과학의 세계에서는 서양의 존재이해가 우선적이지만, 현상 너머를 다루는 종교의 세계에서는 동양의 존재이해가 우선적이다. 성서의 신 이해는 그래서 동양인들이 훨씬 더 정확하게 이해한다.

하늘이라는 단어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서양에서 하늘은 그냥 sky다. 그러나 우리말의 하늘은 무한히 크고 넓다라는 뜻의 ‘한’이라는 단어와 항상 있다고 하는 ‘늘’이라고 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무한공간과 무한시간이 합쳐진 말이 하늘이다.

이 하늘에 사시는 분이 하늘님이다. 곧 하느님이다. 개신교에서는 이를 유일신을 뜻하는 하나님이라고 고쳐 부릅니다만, 이는 서양적인 숫자 개념이 들어가 변형된 단어이다.

필자는 하느님이 아닌 하나님을 고집한다면 유일신이라는 개념에서가 아니라 요한이 말한 바, ‘하늘님’과 예수가 하나이시고 그리고 우리들이 예수를 따름으로 ‘하늘님’과 하나가 된다는 이런 의미에서, 곧 하나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끝이 없다는 절대무한의 의미에서는 정당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신교의 신만이 절대 유일하신 신이고 다른 종교들의 신은 모두 우상이다라고 하는 배타적인 의미에서 쓴다면 이는 잘못이라고 본다. 이는 무한히 크신 님 ‘야훼’를 자신만의 작은 신 ‘엘’로 축소해버리는 잘못이요 ‘나는 나다’라고 말씀하시는 ‘하늘님’을 부정하는 일이 된다.

다석은 말한다.

“하느님이 없다면 어때, 하느님은 없이 계신다. 그래서 하느님은 언제나 시원하다. 하느님은 몸이 아니다. 얼[靈]이다. 얼은 없이 계신다. 절대 큰 것을 우리는 못 본다. 아직 더할 수 없이 온전하고 끝없이 큰 것을 무(無)라고 한다. 나는 없는 것을 믿는다. 인생의 구경(究竟)은 없이 계시는 하느님 아버지를 모시자는 것이다.”

다석의 ‘없이 계신 하느님’은 인간 중심의 서양의 사고 체계에 대한 동양적 답변이면서 동시에 서양 신학에 대한 하나의 비판이다. 신을 믿고 엄청난 규모의 성당과 교회 건물을 짓고, 인간의 이성에 기초하여 방대한 신학체계를 만들어 왔지만, 정작 그것이 하느님을 절대의 신으로 ‘나는 나다’라고 말씀하시는 야훼님에 대한 정당한 응답이었냐는 질문이다.

다석의 없이 계시는 하느님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서구 기독교 국가들이 세계 역사에서 한 일을 보면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잡아다 노예로 삼아 학대하고 아시아/아프리카/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을 학살했다. 또한 수많은 약소국가들을 예수 이름으로 정복하며 식민지화하여 단물은 다 빼먹은 결과 지금은 선진국 행세를 하며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 과연 야훼 하느님의 뜻이었는가? 수천만의 죽음을 불러온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지금도 핵무기를 비롯한 수많은 무기를 무분별하게 개발하여 수익을 얻는 반면 후진국은 이 무기로 서로 간에 죽이는 전쟁을 계속하는 이 현실이 과연 야훼님이 원하는 일인가?

서양 과학의 발달은 인간에게 많은 편리와 혜택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환경오염과 이로 인한 자연재해를 불러와 인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남한 또한 이러한 선진국의 대열에 들어가고자 안달을 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다른 민족의 피를 대가로 했다면 오늘은 우리의 이웃이 피를 흘리고 있다. 용산참사를 비롯한 개발의 희생자들, 김용균 님을 비롯한 비정규직 노동자들, 우리의 눈에 잘 보이지 않지만, 농어촌 곳곳에서 저임금에 혹사당하는 이주민 노동자들, 알바를 세 개씩 뛰는 흙수저의 젊은이들이 있다.

다석 류영모 선생의 ‘없이 계신 하느님’이라는 명제는 바로 이러한 서구 기독교가 저지른 인간 중심의 성공신화의 잘못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동시에 섬김과 나눔의 예수의 십자가 정신을 바로 실천하도록 우리를 깨우치고 있다.

“세상에 빠진 내가 미혹에서 벗어나서 뚜렷하게 나서야 한다. 예수는 뚜렷이 하느님을 모시고 태초부터 자기가 모신 아버지라고 불렀다. 나도 이에 하느님이 보내주시는 얼/성령의 숨을 쉼으로 뚜렷이 하느님 아들과 딸로 사람답게 살겠다는 말씀 한마디를 하고 싶은 것이다.”

조헌정 소장(그리스도교-주체사상 대화연구소) choshalom@gmail.com

<저작권자 © 에큐메니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